맨위로가기

가네코 미쓰하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네코 미쓰하루는 일본의 시인, 수필가, 번역가로, 1895년에 태어나 1975년에 사망했다. 그는 초기에는 서정적인 시를 썼으나, 점차 사회 비판적이고 저항적인 경향을 띠며, 일본의 군국주의와 제국주의를 비판하는 작품을 다수 발표했다. 독특한 풍자와 반어, 은유 등을 사용하며 검열을 피하면서도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했다. 대표작으로는 시집 《상어》, 《낙하산》, 《인간의 비극》 등이 있으며, 수필로는 《말레이 란인 기행》, 《해골 잔》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한국에도 번역되어 소개되었으며,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문학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예술대학 동문 - 장수철 (음악가)
    장수철은 숭실대학교와 중앙신학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을 창단하여 세계 순회공연을 지휘했으며, 킹스 칼리지 명예음악박사 학위와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 도쿄 예술대학 동문 - 권옥연
    권옥연은 함경남도 함흥 출신의 서양화가로, 앵포르멜과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아 추상화를 그렸으며, 1948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청회색 톤의 작품을 선보이고 무의자박물관을 운영하다 2011년 작고했다.
  • 일본의 시인 - 이와야 사자나미
    이와야 사자나미는 메이지 시대에 아동 문학을 보급하고 일본 최초의 아동 문학 총서 간행, 전승 설화 리텔링, '옛날이야기 하이쿠 그림' 창조 등을 통해 일본 근대 아동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아동 문학가, 소설가, 시인, 수필가이자 문예 평론가이다.
  • 일본의 시인 - 미시마 유키오
    미시마 유키오는 1925년 도쿄에서 태어나 소설, 희곡, 평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본의 전통과 현대 사이의 갈등을 작품에 담아낸 20세기 일본 문학의 중요한 인물이며, 1970년 자위대에서 쿠데타를 시도하다 실패하고 할복 자살했다.
  • 아이치현 출신 - 미즈타니 유코
    미즈타니 유코는 1985년 데뷔하여 다양한 애니메이션, 특히 《치비 마루코짱》의 언니 역과 미니 마우스 일본어 더빙으로 알려진 일본의 성우, 배우, 가수였으며, 폭넓은 음역과 연기력으로 다양한 역할을 소화했으나 2016년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 아이치현 출신 - 고토 라라
    고토 라라는 일본의 프리 아나운서, 탤런트, 그리고 과거 SKE48 팀E의 멤버로서, SKE48과 AKB48 싱글 선발 멤버로 활동 후 졸업하여 현재 세인트 포스 소속으로 방송 리포터 및 캐스터로 활동 중이며 골프가 특기이다.
가네코 미쓰하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가네코 미쓰하루
본명가네코 야스와
출생일1895년 12월 25일
출생지아이치현 해동군 엣치촌
사망일1975년 6월 30일 (향년 79세)
사망지도쿄도 무사시노시 기치조지혼초
묘지하치오지시의 가미카와 묘원
직업시인, 화가
참고 사항
로마자 표기Kaneko Mitsuharu

2. 생애 및 활동

가네코 미쓰하루는 1895년 12월 25일 아이치현 쓰시마시에서 태어나 교세이 학원을 다녔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사업 실패와 양자로 입양되는 등 복잡한 가정 환경 속에서 성장했다. 와세다 대학, 도쿄 미술학교, 게이오기주쿠 대학 등에서 공부했지만 모두 중퇴하고, 유럽과 아시아 등지를 방랑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1919년 첫 시집 《적토의 집(赤土の家)》을 발간한 후, 1923년 시집 《고가네 벌레》, 1927년 모리 미치요와 공저한 《상어 가라앉다(鱶沈む)》, 1935년 《상어(鮫)》와 《등대(灯台)》, 1948년 《낙하산(落下傘)》과 《나방(蛾)》등을 발표했다.

그는 반체제적인 인물로 알려졌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아들을 징집되지 않도록 일부러 병들게 하기도 했다.[7] 1954년에는 《인간의 비극》으로 제5회 요미우리 문학상을 수상했다. 1975년 6월 30일 기관지 천식에 의한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2. 1. 초기 (유년기 ~ 청년기)

가네코 미쓰하루는 1895년 12월 25일 아이치현 쓰시마에서 태어났다.[6] 1897년 부친의 사업 실패로 나고야로 이사하여 가네코 쇼타로(金子荘太郎)의 양자가 되었다.[6] 양자로 입양된 후에는 부유하게 자랐으나, 전근대적인 가정 분위기와 어린 양어머니 사이에서 정신적으로 불안하고 우울한 청소년기를 보냈다.[6]

와세다 대학 인문학 계열, 도쿄 미술학교 일본화과, 게이오기주쿠 대학 문학부에 각각 진학했으나 모두 중퇴하였다.

1919년 1월, 가네코 야스카즈(金子保和)라는 필명으로 첫 시집 《적토의 집(赤土の家)》을 발간하였다.

2. 2. 유럽 방랑과 귀국

1919년 1월, 가네코 야스카즈(金子保和)라는 필명으로 첫 시집 《적토의 집(赤土の家)》을 낸 직후 영국 리버풀에 도착, 런던을 거쳐 벨기에 브뤼셀로 갔다. 브뤼셀에서 1년 반 동안 서양 미술을 접하며 사색했고, 친일 성향의 일본 공예품 수집가였던 이반 루파주의 도움을 받았다. 이때 에밀 베르하렌의 시에 큰 영향을 받았다.[6] 1920년 5월 브뤼셀을 떠나 파리로 이주했고, 12월에 런던에서 배를 타고 1921년 1월에 귀국했다.

유럽에서 돌아온 후, 동인지 '인간', '폭풍' 등에 시를 발표했고, 오야마 히로미츠, 사토 하치로 등과 시지 '낙원'(3호로 휴간) 편집에 참여했다. 벨기에에서 쓴 시들을 다듬어 1923년 7월에 시집 《고가네 벌레(こがねむし)》를 냈다. 출판 기념회에는 사이조 야소, 요시다 가즈호 등이 참석했다.

간토 대지진을 겪고 나고야와 효고 등지로 피신했다가 1924년 1월에 도쿄로 돌아왔다. 소설가를 지망하던 모리 미치요와 사귀게 되었고, 7월에 모리가 임신하면서 도쿄 여자 고등 사범을 퇴학, 무로 세이세이의 중매로 결혼했다.

2. 3. 상하이 체류와 창작 활동

1926년1927년에 가네코 미쓰하루는 아내와 함께 상하이에 몇 개월 씩 체류하며, 루쉰 등과 친교를 맺었다.[6] 1927년 5월에는 아내 모리 미치요와 공동 저서로 《상어 가라앉다(鱶沈む)》를 발행했다.[6] 1928년부터는 아내와 애인을 떼어 놓기 위해 그녀가 동경하던 유럽에 함께 가자고 제안했는데, 그는 당시의 상황을 "일본에서의 생활은 막다른 곳까지 몰려 스스로 생각해도 매우 위험한 이번 여행에 몸을 맡기게 되어버렸다."라고 회고했다.[5] 이후 부부는 유럽을 떠돌며 액자 만들기, 보따리상 등으로 생계를 이었다.

1935년 9월에는 《상어(鮫)》, 12월에는 《등대(灯台)》를 발표하는 등, 일본의 사회체제를 비판하는 시를 점차 발표하게 된다.[6] 1937년에는 모리 미치요와 중국 북부를 여행하며 일본군의 대륙 진출에 대한 회의를 느꼈다.[6] 같은 해 8월에는 시집 《상어(鮫)》를 발행했는데, 이 시집의 서문에서 작가는 "매우 화가 났을 때나, 경멸하고 싶을 때, 누군가를 놀려주고 싶을 때 이외에는 이후 시를 짓지 않을 생각입니다."라고 썼다.[6]

2. 4. 태평양 전쟁 시기

1937년 모리 미치요와 함께 중국 북부를 여행하며 일본군의 대륙 진출에 대해 회의를 느꼈다.[6] 1944년 장남에게 징집 영장이 떨어지자, 평소 만성 기관지염을 앓던 아들의 병세를 악화시켜 징집을 면제받게 했다.[7] 전쟁 중에도 검열을 피해 가며 위장된 형태로 전쟁 비판적인 시를 발표했는데,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만", "낙하산" 등이 있다.

2. 5. 전후 활동과 죽음

1948년 시인 지망생 오오코우치 레이코(大河内令子)와 연애를 시작하여, 이후 모리 미치요와 이혼과 복원을 반복했다. 같은 해 4월에 시집 《낙하산(落下傘)》, 9월에는 시집 《나방(蛾)》을 각각 발행했다.[6]

1954년 1월, 《인간의 비극》으로 제5회 요미우리 문학상을 수상했다.[3]

1975년 4월 유서를 썼으며, 6월 30일 오전 11시 30분, 기관지 천식에 의한 급성 심부전으로 자택에서 사망했다.[3]

3. 작품 세계

가네코 미쓰하루는 시, 수필,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다.

3. 1. 시 세계

가네코 미쓰하루는 초기에는 서정적인 시를 썼으나, 점차 사회 비판적이고 저항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일본의 군국주의와 제국주의를 비판하고,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옹호하는 작품을 다수 발표하였다. 독특한 풍자와 반어, 은유 등을 사용하여 검열을 피하면서도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였다.[1] 대표작으로는 《상어》, 《낙하산》, 《인간의 비극》 등이 있다.[1]

4. 작품 목록

가네코 미쓰하루는 시집으로 『낙하산』, 『금색 벌레』, 『상어』, 『나방』, 『IL』, 『여인들에게 보내는 엘레지』, 『어린 잎의 노래』 등을 발표했다. 또한, 『말레이 란인 기행』, 『해골 술잔』, 『잠들어라 파리』 등의 자전적 작품과, 종전 후 일본 사회와 자신의 모습을 그린 『인간의 비극』, 고금동서를 막론하고 절망한 사람들에 대해 쓴 『절망의 정신사』 등을 저술했다.

그는 날카로운 자기 비판과 현실 비판, 저항 정신, 반골 기질을 가진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전쟁 중에도 교묘한 문학적 기법을 통해 검열을 피하면서 전쟁에 반대하는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은 영국, 벨기에, 파리, 상하이 등지를 여행하며 겪은 경험과, 에도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이르는 일본 사회의 변화, 그리고 에로스를 주제로 한 작품들까지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4. 1. 시집


  • 코오로(검열관)일본어, 개인 출판, 도쿄, 1916
  • 세키도노 이에(붉은 흙의 집)일본어, 개인 출판, 도쿄, 1919
  • 코가네무시(쇠똥구리)일본어, 신초샤, 도쿄, 1923
  • 다이후란 쇼(대 부패에 부치는 송가)일본어, 미발표, 1923
  • 미즈노 루로(물의 방랑)일본어, 신초샤, 도쿄, 1926
  • 후카 시즈무(상어가 가라앉는다)일본어, 모리 미치요와 공동 저술, 신초샤, 도쿄, 1927
  • 사메(상어)일본어, 진민샤, 도쿄, 1937
  • 랏카산(낙하산)일본어, 일본 미래파 발행소, 도쿄, 1948
  • 가(나방)일본어, 호쿠토쇼인, 도쿄, 1948
  • 온나타치에노 엘레기(여인들에게 바치는 비가)일본어, 소겐샤, 도쿄, 1949
  • 오니노 코노 우타(악마의 아이의 노래)일본어, 주지야 쇼텐, 도쿄, 1949
  • 닌겐노 히게키(인간의 비극)일본어, 소겐샤, 도쿄, 1952
  • 히조(무자비)일본어, 신초샤, 도쿄, 1955
  • 전집 (5권)일본어, 쇼시 유리이카/쇼신샤, 도쿄, 1960–1971
  • 헤노 요나 우타(방귀 같은 노래)일본어, 시치쇼샤, 도쿄, 1962
  • IL일본어, 게이소쇼보, 도쿄, 1965
  • 와카바노 우타(어린 잎의 노래)일본어, 게이소쇼보, 도쿄, 1967
  • 전시집일본어, 지쿠마쇼보, 도쿄, 1967
  • 아이조 69(사랑 69)일본어, 지쿠마쇼보, 도쿄, 1968
  • 하나토 아키빈(꽃과 빈 병)일본어, 세이가쇼보, 도쿄, 1973

4. 2. 수필


  • 《マレー蘭印紀行|말레이 란인 기행일본어》(말레이와 네덜란드령 동인도 기행) (1940)
  • 《詩人|시진일본어》 (1957, 자서전)
  • 《どくろ杯|도쿠로하이일본어》(해골 잔) (1971)
  • 《眠れパリ|네무레 파리일본어》(잠들어라, 파리) (1973)
  • 《西東|니시 히가시일본어》(서와 동) (1974)

5. 평가 및 영향

가네코 미쓰하루는 당대에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지킨 시인으로 존경받았다. 전후 일본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작품은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영감을 제공한다.

시인 이이즈카 코이치는 브뤼셀에서 대부분 만들어진 시집에 수록된 「알코올」, 「풀 베기」라는 시에 대해, 브뤼겔이나 보쉬의 반영이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그의 작품은 한국에도 번역되어 소개되었으며, 그의 반골 정신과 사회 비판 의식은 한국의 참여시, 민중시 계열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5. 1. 당대의 평가

가네코 미쓰하루는 발표 당시에는 난해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그의 시가 가진 저항 정신과 독창성은 주목받았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지킨 용기 있는 시인으로 존경받았다.

5. 2. 후대의 평가

가네코 미쓰하루는 전후 일본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작품은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는 데 중요한 영감을 제공한다. 그의 저항 정신과 풍자, 반어 등의 기법은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시인 이이즈카 코이치는 브뤼셀에서 대부분 만들어진 시집에 수록된 「알코올」, 「풀 베기」라는 시에 대해, 브뤼겔이나 보쉬의 반영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으며, 특히 「풀 베기」에 관해서는 이후의 『상어』(1935년) 이후의 시로 이어져 가는 중요한 시라고 언급하고 있다.

5. 3. 한국 문학과의 관련성

가네코 미쓰하루의 작품은 한국에도 번역되어 소개되었으며, 그의 저항 정신과 문학적 성취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문학계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그의 반골 정신과 사회 비판 의식은 한국의 참여시, 민중시 계열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웹사이트 Yomiuri Prize for Literature https://info.yomiuri[...] Yomiuri Shimbun 2018-09-28
[2] 서적 『「面白半分」快人列伝』 平凡社新書
[3] 서적 作家の臨終・墓碑事典 東京堂出版 1997
[4] 논문 バルザック、ドーミエ、金子光晴
[5] 서적 女たちへのいたみうた:金子光晴詩集 集英社文庫 1992
[6] 간행물 가네코 미쓰하루의 '상어'에 보이는 반권력 http://uci.kci.go.kr[...] 2006
[7] 뉴스 전쟁은 절대로 안 되는 이유, 이 책 보면 압니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7-09-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